|
 |
작성자 |
 |
이동윤 |
작성일 |
 |
2017.04.01 |
|
|
첨부파일 |
 |
|
|
|
|
 |
아직 완연한 봄이 아니다. 따뜻하게 입어 뇌졸중을 예방하자 |
아직 완연한 봄이 아니다. 따뜻하게 입어 뇌졸중을 예방하자
지난 3월 20일은 밤과 낮의 길이가 거의 같아지는 춘분(春分)으로 완연한 봄이 왔음을 의미한다. 기상청에서는 아침 최저기온은 섭씨 3~5도, 낮 최고기온은 12도에서 19도로 일교차가 10도 이상 차이가 나는 날씨가 이어지면서 환절기 건강관리에 도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우리 몸이 오전과 오후의 갑작스럽게 커지는 기온 변화에 적절히 적응하지 못해 몸 자체가 불안정해지면서 뇌혈관이 좁아지고 혈압도 상승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초봄과 초가을 환절기에 뇌졸중 환자가 늘어나기 때문에 평소 뇌졸중 위험인자가 있거나 한 번 뇌졸중을 겪었던 사람은 일교차가 큰 환절기를 조심해야 한다.
뇌졸중은 뇌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뇌혈관이 막힌 뇌경색, 뇌혈관이 터지는 뇌출혈이 있으며, 최근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4년까지 뇌졸중 환자 수는 연평균 3.2%가량 늘어났다. 특히 지난 해에는 전년 대비 7.9%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뇌졸중을 일으키는 주 위험요인으로 고혈압, 흡연, 스트레스, 복부비만, 나쁜 식습관, 혈중 지방 수치, 당뇨병, 음주, 우울증, 심장질환 등이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고혈압, 흡연, 스트레스, 나쁜 식습관, 복부비만 등 5가지가 뇌졸중 위험 요인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뇌졸중의 원인 대부분이 생활습관과 관련된 것으로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뇌졸중 위험이 증가되기 때문에 사전에 예방할 시간이 충분하며, 이중에서도 뇌출혈과 뇌경색 둘 모두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고혈압 관리가 최우선적이다. 흡연과 과음,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에 시달리던 중년 세대에서 일교차가 커지면서 뇌졸중 환자가 급증하게 되는 것이다.
큰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는 여러 징후가 있듯이 뇌졸중도 마찬가지다. 뇌혈관이 막혀가는 과정에서 우리 몸은 끊임없이 위험 신호를 보낸다. 뇌졸중을 알리는 대표적 신호는 머리가 맑지 않은 멍한 두통과 어지럼증을 들 수 있다. 뇌 조직에 혈액 공급이 덜 되면서 만성적 뇌허혈과 머리에 일시적으로 피가 부족해 나타나는 빈혈 현상이다.
고개를 위로 들 때 어지러운 것도 뇌혈관 문제를 의심해 봐야 한다. 소뇌나 뇌간으로 가는 혈관이 일시적으로 눌리며 좁아져서 피가 통하지 않아서다. 한쪽 팔·다리가 약하게 저리면서 감각이 둔해지거나 말을 할 때 새는 듯한 느낌이 들 수도 있다. 이런 증상이 잠깐 또는 24시간 이내에 없어지는 경우를 일과성 뇌허혈발작이라고 부른다.
이런 뇌가 보내는 위험신호를 간과하고 두통약을 먹으며 방치하는 사람이 많다. 일과성 뇌허혈발작을 겪은 사람 중 5%는 한 달 내에, 3분의 1은 3년 이내에 뇌졸중이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뇌세포는 단 몇 분만 혈액공급이 안 돼도 손상을 입는다. 한 번 죽은 뇌세포는 다시 살릴 수 없다.
뇌경색은 3~4.5 시간이 환자의 후유증을 결정하는 ‘골든타임’이다. 뇌세포가 주변 혈관으로부터 산소와 영양분을 받으며 버틸 수 있는 시간이다. 이 경우 병원에 빨리 가는 것이 생명을 살리는 길이다. 병원에 빨리 가기위해서는 자가용보다는 119 구급차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완연한 봄이라며 얇은 옷을 입고 다니면 체온 유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당분간 얇은 방풍 쟈켓이나 외투를 착용해 쌀쌀한 아침, 저녁에 몸의 체온을 보호하고 기온이 높아지는 한낮에는 벗어 효율적으로 보온이 가능하다. 또 혈압을 일정하게 관리하려면 짠음식을 덜 먹고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면서 주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고 의사의 지시와 처방에 잘 따라야 한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