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체온증의 증상 |
저체온증은 우리 몸의 피부체온이 아닌 중심체온이 섭씨 35도 이하로 내려가서 건강상의 위험을 초래하는 상태를 말하는데, 요즘은 고막체온을 측정하는 이경체온계가 안전하고 적절한 중심체온 측정을 가능하게 해준다. 실외의 응급상황에서 체온계가 없을 경우의 가장 최선의 방법은 겨드랑이나 사타구니 등 정상적으로 따뜻해야할 부위를 감각으로 느끼는 것이다. 1.경도(섭씨 35-36도) 손발이 차며, 전율이 느껴지고, 맥박과 호흡이 빨라지며, 급박한 소변욕구와 가벼운 부조하를 느낀다.
2.중등도(섭씨 32-34도) 행동의 부조화와 어색함이 증가되고 피로를 느끼며, 전율은 감소하나 말을 더듬거리고 기억상실이 오며, 가면상태와 탈진과 탈수증상이 온다.
3.중증(섭씨 32도 이하) 전율이 완전 소실되고, 행동양식이 부적절하며 의식이 저하되며, 근육강직이 오고 저혈압과 맥박이 떨어지며, 부정맥에 따른 사망이 초래된다.
만약 복장에 의한 단열과 운동대사가 추위 속에서 주자의 체온유지에 충분하다면 운동능력은 손상되지 않겠지만, 피로가 시작되고 근육활동이 둔화되면 체열생산이 점차 줄어들게 되며, 운동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열생산이 가능한 속도로 운동을 할 수가 없어진다. 장거리 달리기의 후반부에 저장에너지가 감소되면 대사적 열생산이 감소되고 그에 따른 체온저하가 주자를 더욱 피로하게 하여, 이것이 열 생산 능력을 더욱 더 떨어뜨려 주자를 위험한 상황으로 빠지게 할 수 있다.
가을 이후에는 평소 달리기에서도 긴타이즈나 반타이즈를 입고, 반팔이나 긴팔셔츠를 입으며, 모자와 장갑을 착용하여 안전한 달리기를 해야 한다.
항상 즐겁고 건강한 달리기 생활되시길 빕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