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이동윤  작성일 2003.11.13  
 첨부파일

운동 중의 현기증
1. 정의
현기증이란 자신이나 주위가 빙빙돌거나 천장이 빙빙도는 것처럼 실제로는 움직이지 않지만 움직이는 것으로 느껴지거나 보이는 경한 어지러움의 상태로 현훈(眩暈)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어지럼증은 질병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증상으로 자신의 체위에 대한 안정감각 소실의 자각증세를 말한다.

2. 원인
(1)내이성 현기증은 전체 현기증의 약 80%에 해당한다.
(2)비내이성(비미로성) 현기증에는 내과적 질환이 많은데, 알레르기 등의 전신적 이상을 비롯하여 뇌동맥 경화나 혈압이상(고혈압·저혈압), 자율신경 실조, 내분비 이상, 뇌파이상 등을 들 수 있다.
(3)안성(眼性) 현기증은 눈을 감으면 소실되므로 다른 것과는 쉽게 구별된다.
(4)경성 현기증(頸性眩氣症)의 하나로서 경부염좌로 인한 증후군에서 볼 수 있는 발작성 현기증이 보고되고 있다.

3. 증상
(1)뇌의 일과성 허혈장애, 뇌경색증, 소뇌장애, 파킨슨병이 있는 경우에 어지러움증이 있다. 척추뇌저동맥의 혈액순환부전으로 갑자기 어지러움증을 일으킬 수 있고, 특히 50대 이후 연령에서 급성연훈·오심·구토·복시·구음장애 등 증상이 있을 때 뇌간 혈액순환부전으로 인한 중독성 뇌간경색의 전구증상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2)고혈압이나 저혈압이 있을 때 어지럼증이 있다. 기립성 저혈압이란 갑자기 일어설 때 혈압이 떨어지고 어지러움증을 느낀다. 심장의 부정맥 또는 심박출량의 감소가 있을 때 어지러움증이 있다. 기침을 심하게 한 경우 또는 남자의 경우 배뇨를 할 경우 갑자기 어지러움증을 일으킬 수 있다.

(3)빈혈, 백혈병 등이 있을 때 어지럼증이 있다. 빈혈이 있을 경우에는 안색이 창백하고, 전신이 쇠약해 보인다. 혈액검사 또는 골수검사를 해서 원인을 규명한다.

(4)갑자기 정신적인 충격을 받고 실신을 하는 경우, 불안초조한 사람, 과호흡을 하거나 만성적으로 한숨을 깊이 내쉬는 사람, 히스테리 등에서 어지러움증을 나타낸다.

4.예방
(1)자세를 갑자기 바꾸지 않는다.특히, 앉아 있다가 갑자기 일어나거나, 머리를 빨리 혹은 심하게 움직이는 것은 어지러움증을 유발할 수 있다.
(2)짠음식, 커피, 콜라, 담배등을 삼가한다.
(3)스트레스, 불안등이 어지러움을 유발하기에 가능한 피하여야 한다.
(4)안정을 취한다.
(5)반복하여 재발하면 의사의 진찰을 받는다.

항상 즐겁고 건강한 달리기 생활되시길 빕니다.
지구사랑 달리기 클럽/달리는 의사들 이동윤


목록보기     프린트

다음글 : 달리는데 허리는 왜 아플까?
이전글 : 손발이 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