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이동윤  작성일 2003.06.03  
 첨부파일

천천히, 끝까지 달리자.
대회 출발선에 서서 출발을 알리는 총소리를 기다리는 동안 오늘 내가 달려야할 거리를 생각하며, 나를 괴롭힐 악마의 유혹에 잘 견딜 수 있도록 자신을 격려하는 그 순간은 아직도 가슴을 설레게 한다.
마라톤 전 코스를 달리는 동안, 자신의 몸과 마음이 따로 논다면 즐거운 달리기가 될 가능성은 거의 희박해 보인다. 만약 지금 자신이 하고 있는 달리기와 과거에 자신이 생각했던 달리기를 끊임없이 비교한다면 영원한 갈등만 있을 것이다. 즐겨운 대회, 즐거운 달리기는 자신의 마음 속에서 자신을 깍아내리거나 무시하여 먼저 지게 만들지 말아야 가능하다.
주자들은 대부분 두 길, 한 길은 자신의 몸이 달리는 길로 자신의 발밑으로 지나가며, 다른 길은 마음이 달리는 길로 자신의 양쪽 귀사이에서 들리는 속삭임의 길을 달린다.

만약 주자들이 하고 싶은만큼 자주, 혹은 빨리 달린다면, 항상 자신의 몸이 하는 소리을 들을 수 없다. 반면에 너무 몸의 소리에만 귀를 기울인다면, 여러 가지 핑계꺼리를 만드는 좌뇌의 영향력 아래에서 아마도 밖으로 달리러 나가지 못할 지도 모른다.

'나는 잘 달릴 수 없다'는 자신에 대한 최악의 비판적인 목소리가 최고로 즐거운 격려로 바뀌도록 달리기가 자신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노력이 필요하다. 달리기는 자신을 받아들이는 길이다.

우승할 것같지도 않고, 그럴 가능성도 없는 마라톤 대회에 참가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다. 그런 사람들은 달리는 과정의 처절한 내면적 전투에는 관심이 없으며, 언제나 우승하는 선두에만 관심을 보인다.
중요하지도 않는 어떤 것을 위해 자신의 생명을 위험에 빠뜨리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번호판을 가슴에 달면서 느끼는 강렬한 원시적인 내면의 충동을 느끼게 되면, 왜 우승하지도 못하면서 대회에 줄곧 참가하는지를 이해하게 된다.

대회에는 결승선을 가장 처음으로 넘은 전체 우승자가 항상 있다. 그런 사람들은 축하받아야 마땅하지만, 우승자만이 그 날 그 주로상에서의 유일한 승리자는 아니다. 우승자와 1등을 하지 못한 사람들이라는 이분법적 태도는 달리기 운동의 핵심을 빠뜨린 것이다. 그런 태도는 우승한 사람 뿐만 아니라 실패한 사람들의 노력을 깍아내릴 뿐만 아니라 주자로서 자신들의 모든 승리를 이해하고 참여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우승과 승리, 우승하는 것과 승리하는 것, 그리고 우승자가 되는 것과 승리자가 되는 것 사이에는 각각 차이점들이 있다.

우승과 승리의 차이는 첫 5km 대회에서나 혹은 50째 마라톤에서도 배울 수 있다. 우리 대부분들은 대회에서 우승할 기회를 가지지는 못할지 모르지만, 승리할 수 있는 기회들은 충분하다.

승리의 정의는 표현하기 어렵다는 것을 달리기가 가르쳐주고 있다. 주자로서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도전들은 인생에서처럼 계속 변화하고 있다.

우리는 달리기 동작을 통해서 달리기에 맞는 심장, 주자로서의 마음, 주자로서의 정신을 얻게 된다. 우리 대부분이 우승의 스릴을 느껴보지 못한다고 해서 자신들의 개인적인 승리들도 포기했다는 것이 결코 아니다.

주자가 되는 정신은 자신의 내면 속에 깊이 묻혀있다. 우승컵과 장식 리본이 그것을 부추기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 자신 내부에서 아직도 개발되지 않은 채 숨어있는 에너지와 열정의 원천을 찿으려는 꾸준한 노력에 의해 자라게 된다. 우승을 하고자 하는 실수를 하지마라. 우승은 실패하기 보다 더 쉽다. 개인적인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 자신의 모든 것을 쏟는다는 느낌이 텅빈 우승보다는 훨씬 더 만족스런 느낌을 초래한다.

주자로서의 목표가 빠른 완주, 대회 우승이 아니다. 오히려 즐거운 인생을 위한 하나의 레크리에션 활동이다. 천천히 달리며 풀잎에 맺힌 아침 이슬과 온누리를 붉게 물들이는 석양의 아름다움이나 개인적인 승리를 위해 같은 주로를 달리는 옆 사람의 인생과 자신의 내면 속에 묻혀있던 새로운 능력을 개발하는 즐거움을 찿아보자.

항상 즐겁고 건강한 달리기 생활되시길 빕니다.
지구사랑 달리기 클럽/달리는 의사들 이동윤
(이 글은 러너스 코리아 6월호에 실린 글입니다)


목록보기     프린트

다음글 : 노인들의 달리기
이전글 : 달리기와 관련된 흔한 질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