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포럼'15-18]러닝머신, 그냥 달리기만 하면 되는거야? |
[북포럼'15-18]러닝머신, 그냥 달리기만 하면 되는거야?
많은 사람들이 트레드밀은 회전하는 벨트 위를 달리기만 하면 되는 쉬운 운동으로 생각하고 무작정 벨트 위로 뛰어 오른다. 그러나 그래서는 안된다. 안전하게 달리는 법을 완벽하게 숙지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자세를 교정하고 신체 변화를 의식적으로 주목해야만 효과적인 운동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트레드밀을 할 때 범하기 쉬운 실수들만 알고 있어도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트레드밀 위에 올라가 시작 버튼을 누르고 스피드를 높인다. 미리 설정해놓은 시간까지 무작정 달린 뒤 시간이 다 되면 운동을 멈춘다. 매번 트레드밀 운동을 할 때마다 동일한 패턴으로 별 생각 없이 달리기만 한다면 효율적인 운동 효과를 얻기 어렵다.
운동 시간과 강도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 우리 몸은 일정한 패턴에 적응해 더 이상 몸 상태를 개선하지 않게 된다. 특히 현상 유지가 아닌 체중 감량을 목표로 트레드밀을 뛰는 사람들이라면 더욱 더 역동적인 달리기가 필요하다.
초보자들은 너무 강하지 않는 강도로 운동을 하고 적당한 때에 속도 등을 높여야 한다. 너무 빨리 운동 강도를 높이면 종아리나 허리, 엉덩이, 무릎 등에 통증이 올 수 있다. 가장 좋은 방법이 걷기와 달리기를 번갈아 하는 방식이다.
야외에서 조깅을 하면 지형지물이 다채롭기 때문에 파틀렉(다양한 속도와 지면에서 달리는 운동법) 훈련을 하기 수월하지만 트레드밀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자신의 달리기 목적과 목표에 따라 천천히 달리기, 전력 질주하기, 장시간 혹은 단시간 달리기 등의 변화를 주어야 한다.
트레드밀은 두 가지 변화가 가능하다. 하나는 스피드이고 또 하나는 경사각이다. 많은 사람들이 속도 조절에는 관심을 두는 반면 경사각은 0도를 그대로 유지한 채 달리는 경향이 있다. 실내에서 운동을 하면 바람의 저항이나 장애물처럼 운동을 방해하는 요소가 없다. 따라서 속도 조절만 하는 것으로는 시간 대비 효율성이 떨어진다.
실내에서 운동을 하면 바람의 저항이나 장애물처럼 운동을 방해하는 요소가 없다. 따라서 속도 조절만 하는 것으로는 시간 대비 효율성이 떨어진다. 속도와 더불어 경사를 조절해야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경사각이 높아지면 햄스트링에 더 많은 힘이 가해지며 엉덩이 근육을 발달시키는데도 도움이 되므로 트레드밀의 기울기를 조금씩 늘려보자.
트레드밀의 양쪽에 있는 바를 손으로 붙잡고 달리면 달리는 자세와 걸음걸이를 교정할 수 없다. 다리에 체중이 실리지 않기 때문에 칼로리 소모량도 당연히 떨어지게 된다. 손잡이를 붙잡지 않고는 도저히 달릴 수 없다면 차라리 속도를 줄여 올바른 자세로 달릴 수 있도록 하자. 잘못된 자세가 습관이 되면 교정하기 어려워지니 달리는 속도가 느리더라도 바른 자세로 달릴 수 있는 훈련을 해야 한다.
트레드밀에서 운동하면서 앞에 있는 모니터로 TV를 시청하거나 책을 보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이런 것을 보면서 걷기나 달리기 등을 하다보면 운동화 끈이 풀어진 것도 모르는 경우가 있다. 이보다는 빠른 리듬의 음악을 듣는 게 낫다. 이에 맞춰 경쾌하게 운동해보라.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