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이동윤  작성일 2004.08.12  
 첨부파일

평지길과 언덕길 달리기의 에너지 소비 차이
대회를 참가하다 보면 오르락 내리락 하는 기복이 있는 길을 만나는 수가 더러 있다. 평탄하고 직선으로 곧게 뻗은 길보다는 피로감이나 지루함을 한결 덜 느끼게 된다. 그렇다면 소비되는 카로리도 차이가 없을까?

장거리 달리기에서 언덕길이 나오면 평지에서와 같은 속도로 계속 달릴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힘도 더 드는 것처럼 느껴진다.
1972년 스웨덴에서 30km 크로스 컨트리 대회에 참가한 선수들을 상대로 산소소비량을 측정한 결과, 최대 심박수가 189회/분인 선수의 내리막길에서는 최대 산소 섭취량의 76% 수준에서 심박수가 174회/분의 속도로 달리는데 비해 오르막길에서는 최대 산소 섭취량의 90% 수준에서 분당 맥박수가 180회로 달리고 있었다고 한다.

또 6%의 경사길을 분당 200m의 속도로 달리는 한 연구에서, 평지를 동일한 속도로 달릴 때보다 오르막길에서는 35%나 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고, 내리막길에서는 24% 정도 적은 에너지가 소모되었다. 이론적으로는 오르막길과 내리막길 사이의 이익과 손해가 동일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실제로는 기복이 있는 길에서는 전체적으로 평지보다 약 10% 정도 더 많은 에너지가 더 필요하다.

오르막이나 내리막 길을 달리면 평지보다 대퇴근육, 특히 외측 광근에 더 많은 부담이 가기 때문에 평소 훈련시에 이런 얼덕길 도로조건에 대비하기 위한 훈련도 프로그램에 포함하는 것이 보다 즐거운 장거리 달리기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항상 즐겁고 건강한 달리기 생활되시길 빕니다.

목록보기     프린트

다음글 : "생기가 없어!"
이전글 : 몸통근력을 테스트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