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의자에서 일어서기만 해도 암을 예방할 수 있다. |
앉아서 일하는 직장인들은 일을 하다가 휴식을 취할 때는 1분이라도 의자에서 떨어져 쉬는 것이 좋다는 연구결과가의자에 오래 앉아 있으면 건강에 여러모로 좋지 않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하루 종일 있다. 조금이라도 서서 지내는 시간이 길수록 허리둘레가 줄어들고 심장건강도 더 좋아진다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암연구소가 2014년에 발표한 세계 184개국 대장암 현황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남성의 대장암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 당 46.9명으로 아시아에서 1위, 전 세계적으로 4위에 해당하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립암센터의 통계에 의하면 대장암 환자의 생존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2007~2011년 동안 대장암의 생존율은 73.8%로, 1993~1995년의 생존율인 54.8%에 비해 19%나 향상되었는데, 이는 대장암은 제때 발견해 치료하면 생존율이 높은 암이라는 의미다.
이와 관련해 대장암에 걸렸어도 걷기나 달리기 같은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하면 사망 위험이 절반으로 뚝 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많은 사람이 암 환자가 운동을 하면 전이가 빨라진다고 잘못 알고 있지만, 적절한 신체활동과 운동이 환자의 투병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미국 하버드대 암연구소 제프리 마이어하트 박사팀은 대장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668명을 1, 2, 3단계로 나눈 뒤 2년에 한 번씩 병의 경과와 걷기, 달리기, 자전거 타기, 요가, 스트레칭 등 운동 양을 조사했다.
비전이성 대장암으로 진단 받은 뒤 신체적 활동을 활발히 한 사람은 대장암이나 다른 어떤 이유로든 숨질 확률이 현저히 낮았으며, 주당 MET 점수가 27점 이상이면 활동적이지 않은 환자에 비해 대장암으로 숨진 확률이 50% 낮았다.
나이, 암 진행 상태, 체질량지수, 암 진단 시기, 종양 위치 등 다른 요소에 상관없이 신체활동과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이미 대장암에 걸린 환자라도 운동을 하면 암 진행을 늦추거나 사망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말이다.
호주 퀸즈랜드대학교 제네비브 힐리 교수팀은 20세 이상 성인 4757명에게 일주일 동안 깨어있는 시간에 오른쪽 허리춤에 가속도계를 달고 있게 했다. 가속도계는 사람들의 신체활동의 양과 강도를 분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
사람들이 하루에 앉아서 보내는 시간은 1.8시간에서 21.2시간까지 이르렀고 의자에서 일어서서 보내는 휴식 시간은 고작 평균 4.12분이었다. 일하는 내내 전혀 쉬지 않는 사람보다 잠깐씩이라도 쉬는 시간을 가지는 사람일수록 허리둘레가 더 적었고 C-반응성 단백질의 수치도 더 낮았다.
C-반응성단백질이란 간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로 몸에 염증이 있을 때 수치가 증가한다. 허리둘레가 적다는 것은 복부지방이 적고 심장건강이 더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허리둘레가 클수록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진다.
사람의 다리 근육과 등은 어떤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큰 힘을 쏟는데, 앉거나 비스듬히 기대있을 때 이 근육들은 기본적으로 비활동적이 된다. 짧더라도 의자에서 떨어져 쉬면 이들 근육이 수축되고 운동이 된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