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겨울 야외운동, 조금만 신경쓰면 저체온증 위험 없이 즐겁고 안전하 |
겨울 야외운동, 조금만 신경쓰면 저체온증 위험 없이 즐겁고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영하 20도에 육박하는 강력한 한파가 이어진 지난 한 주간 한냉질환자가 평소보다 3배 정도 늘어나 사망자와 동상환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전국 530개 응급실 운영 의료기관이 참여하는 한냉질환 감시체계 운영결과, 지난 12월 1일부터 24일까지 한냉질환자는 모두 309명이었고, 이 중 17명이 사망했다. 사망자의 70%는 60대 이상 남성이었고, 대부분 집 근처에서 사망했다.
신고된 사망자와 한랭질환자는 최근 1주간 집중 발생하였으며, 사망자는 10명으로 평소보다 4.5배, 한냉질환자는 127명으로 3.2배 증가했다. 저체온증이 67건으로 2.2배, 동상이 56건으로 6.7배 늘었다. 저체온증은 인체의 열 손실률이 열 생산율은 초과하여 체온이 내려가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일단 체온이 섭씨 35도 이하로 떨어지면 뇌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며 혈압이 떨어진다.
33도 이하에서는 정신적 혼돈이 나타나며, 사지의 근육이 뻣뻣해지면서 움직임이 둔해진다. 얼마 후에는 의식을 잃게 되며, 만일 체온을 빨리 올려주지 뫃하면 저체온증으로 인해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임상적으로 저체온증은 체온이 섭씨 35도 이하로 떨어진 상태다. 이러면 몸이 떨면서 체온을 올리는데, 섭씨 32도 이하로 내려가면 떨림마저 사라진다. 떨지 않는 저체온증 환자는 중증으로 위험한 상태다.
야외에서 저체온증 환자를 발견하면 먼저 119에 도움을 청한 뒤 추운 환경에서 환자를 격리시켜 움직임을 최소화해야 한다. 젖은 옷을 벗기고 피부를 건조하게 한 후 마른 옷으로 갈아입히고, 담요를 덮어 체온을 올려야 한다. 의식이 없으면 환자의 입으로 아무 것도 주지 않아야 한다. 반응이 없으면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한다. 가능하면 많은 양의 열 생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쉬지 않고 몸을 움직이는 것도 중요하다.
저체온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옷을 충분히 입어야 한다. 인체는 항상 많은 양의 열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주변 환경으로의 열에너지 전달 속도를 감소시키는 능력은 비교적 제한되어 있다. 적절한 의복을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 아주 심한 추위에 노출된 사람의 저체온증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을 몸을 건조하게 유지하면서 운동 등 신체활동을 계속하여 열생산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래서 중요한 것이 의복의 열절연성이다. 이것은 착의량(clothing, CLO) 단위로 나타낸다. 1CLO는 일상적인 업무 복장에 의해 제공되는 단열의 정도와 같으며, 바람 속도와 습도 두 가지 모두 낮을 때 섭씨 21도의 온도에서 편안함을 제공한다. 달리는 동안에는 상당히 많은 양의 열이 생산되므로 바람이 거의 없는 상태라면 낮게는 영하 22도의 기온에서 달리더라도 요구되는 것은 평상의 복장, 즉 1CLO 정도의 단열을 제공하는 복장이라면 충분할 수도 있다.
하지만 바람이 분다면 대류에 의한 열 손실은 바람 속도에 비례해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휴식 상태의 인간은 영하 섭씨 50도의 기온에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12CLO의 의복만으로도 적절하게 보호된다. 옺이 젖는 경우를 고려해야만 하는데, 왜냐하면 의복의 단열 효과가 상실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차가고 습기가 없는 기상 상태에서는 땀의 분비만으로는 의복의 단열효과가 완전히 없어지도록 만들지 않는다.
겨울철 눈이 펑펑 오는 상황이거나 여름철 억수로 쏟아지는 빗속에서 1시간 이상 계속해서 달릴 때는 문제가 발생한다. 비나 눈이 의복을 촉촉히 적실 것이며 의복의 단열효과는 사라진다. 어쨌거나 겨울철에는 특히나 체온을 보존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옷을 입어야 하겠지만, 땀을 많이 흘리기 시작할 정도가 되어서는 안 된다. 출발 전에 약간 추위를 느낄 정도의 의복을 입는 것이 적당하다. 그리고 달리다가 걷지 않도록 달리는 거리를 적당히 조절해야 하고, 가벼운 방풍복을 항상 휴대하는 것이 좋다.
시속 15km의 빠른 속도로 달릴 때와 비교해서 섭씨 0도에서 걷거나 휴식할 때는 단열기능이 최소한 4배 정도 되는 의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섭씨 5도 미만의 온도에서 진행된 대회에서 체지방이 적고, 근육질이 아니며, 가볍게 옷을 입은 주자가 후반에 걸을 경우에는 저체온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럴 경우에 대비해서 입울 수 있도록 여분의 옷을 준비해 휴대해야 하는 이유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