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이동윤  작성일 2002.09.26  
 첨부파일

조직문화란 무엇인가?

우리는 자기가 속한 조직이던 아니던 상관없이 국가를 포함하여 많은 조직의 문화에 대해 수없이 많은 이야기를 한다. 어떤 이는 조직문화를 확 바꾸어야 한다고 말하고, 또 다른 이는 조직문화가 바뀌지 않으면 진정한 발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도 한다.

그럼 조직문화란 무엇인가?
"조직 문화는 리더가 허용하고, 조직원들이 나타내는 행동들"이라는 EDS(Electronic Data Systems) 의 CEO 딕 브라운의 명확하고 간결한 정의가 있다.
그러므로 조직원들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이 바로 조직문화를 바꾸는 것이요, 조직문화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조직원들의 행동거지를 그에 맞게 바꾸어야 하는 것이다.

조직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들을 보이는 것은 바로 리더들이 이러한 행동들을 허용하기 때문이며, 리더가 허용하지 않는 행동들은 그 조직에서 볼 수 없어지는 것이 당연하지 않는가?
만약 조직이 내규대로 움직이지 않거나 조직원이 적절하지 못한 행동을 조직 외부에서 보인다면 그런 조직내의 움직임이나 외부의 행동들을 리더가 허용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것이 바로 그 조직의 조직문화이다. 수없이 많이 참가자들로부터 비난과 원성과 개선을 위한 제안을 받으면서도 전혀 개의하지 않고 항상 그 수준의 엉성하고 위험한 마라톤 대회들을 주관하는 우리가 잘 아는 단체가 아주 좋은 예가 될 것같다.

조직내의 정보공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리더가 그런 상황을 모른 척 하고 넘어가거나 일부러 조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리더가 어항 속의 고기처럼 투명한 것을 지향하면 모든 조직원들은 그 기준에 맞는 깨끗하고 맑은 행동만을 하게 되고, 나아가 그것이 그 조직의 문화로 자리잡게 된다는 것이다.

인터넷이라는 바깥 세상은 눈깜짝할 만큼 빠른 변화의 물살을 만들고 있으나 정서라는 우리의 내면세상은 그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는 측면이 많다. 만약 정보를 서비스하는 조직의 리더가 이런 자신감은 있지만 보수적이며 과거에 묶인 상태에 놓여있다면 당장 외부의 정보산업의 성장과 정반대로 자신의 조직은 발전이 둔화되고 조직의 가치는 점차 떨어질 것은 자명한 이치이다. 이는 일반 취미클럽에도 우선 신입회원이 들어오지 않음으로써 신진대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클럽의 세가 둔화되고 정체상태에 들어가게 될 것이며, 위에 예를 든 마라톤 대회주관 단체처럼 대회 일반 참가자인 소비자들의 의사결정을 주도하는 우량고객들로부터 배척당하게 되는 것이다.

리더는 숫자로 나타나는 과거나 현재의 결과를 중시할 것이 아니라, 제시된 장기적인 비젼과 신념에 맞는 조직문화를 형성할 조직원의 확보를 위해 무언가를 결정해야할 매 순간의 용기와 결단에 집중해야 한다.

항상 즐겁고 건강한 달리기 생활되시길 빕니다.


목록보기     프린트

다음글 : 요즘도 몸만 갖고 마라톤 대회에 참가하는 사람이 있
이전글 : 조직에서 정직의 의미는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