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씨는 (34, 여) 류마티스 관절염을 1년 이상 앓고 있었다. 뼈와 관절의 손상을 줄여주는 항류마티스제 치료를 받았지만 별 효과가 없이 면역력만 약해졌다. 힘겨운 치료에 몸도 마음도 상한 상태였다. 의사는 기존의 항류마티스제 대신 체내의 염증 유발물질만 골라서 파괴하는 생물학적 제제를 환자에게 투여하기로 결정했다. 국내에 시판 중인 생물학적 치료제 중에서도 잠복결핵의 활성화같은 부작용이 적다고 알려진 엔브렐을 투약했다. A씨는 치료에 큰 진전을 보였다.
류마티스는 관절과 근육 등에 통증과 운동장애가 일시에 생기는 원인불명의 전신성 만성 염증질환의 총칭이다. 병이 주로 관절에서 발생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피부에 붉은 발진이 생기고 장기의 면역능력까지 떨어뜨리는 루프스, 척추에 염증이 생기고 관절이 둔해지는 강직성 척추염, 요산염 결정이 연골과 힘줄 주위 조직이 쌓이면서 염증을 유발하는 통풍 등을 포함한다.
류마티스는 예전에는 생소했던 병이다. 그렇기에 앞에 언급한 A씨 사례처럼 증상이 나타나면 불치병일까 걱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에서는 약 20년 전부터 본격적인 류마티스 치료와 연구가 시작됐다. 특히 최근 5~10년 사이에 치료 방법이 급격하게 발전해 미국 등 선진국 수준에 근접했다.
이제 류마티스 질환은 조기 발견해 적극 치료한다면 질병이 진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환자 개인의 특성에 따라 최적화된 맞춤치료는 더욱 효과가 높다. 한양대학교 류마티스병원 배상철 원장은 "유전자 정보와 개인 특성을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문보기===> http://www.kormedi.com/news/article/1203560_2892.htmlpage=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