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jrigjwwe9r3edt_lecture:conts 6) 스포츠 운동의 시작
공을 던져야 하는 경우 interval program을 이용한다. 운동의 강도와 속도를 점차 증가시키고 공도 가벼운 공에서 무거운 공으로 한다. interval이란 개념으로 먼저, 횟수를 늘리고 거리를 늘린다. 이러한 점진적 프로그램이 끝나면 피칭이나 서비스 기능은 빠른 시합동작을 50% 이상에서 100%로 늘려간다. 그리고 이때 정확한 동작을 실시하는데 있어 자세가 중요하다. 즉 폼이 좋아야 하므로 코치가 재활훈련에 참여해야 하며, 정확한 동작을 서서히 점진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시행한다. 예를 들어 야구나 테니스의 경우 와인드업, 코킹, 가속, 팔로우스로우(follow throw) 등 각 단계에서 사용하는 근육들이 일정해야만 손상의 재발이 발생되지 않는다. 만약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제때 제 근육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손상의 재발이 발생할 수 있다. 역동적 근전도기기(Dynamic EMG)를 사용하여 스포츠 동작을 하면서 동작마다 작용하는 근육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과학적인 훈련이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7) 재활프로그램의 유지
규칙적으로 실시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저항운동) 외에 부상이 있었던 부분에 대한 보강운동은 1년 이상 실시되어야 한다. 1년 이내의 재발을 막을 수 있는데, 그 이후에는 일반적인 저항운동을 종목별로 실시해도 된다. 그러나 어느 부분의 근력이 감소되었다는 것을 감지하면 그 부분을 먼저 강화시키고 저항운동을 실시해야한다. 주로 관절가동운동, 근력, 심폐지구력 운동을 한다. 의협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