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jrigjwwe9r3edt_lecture:conts 2. 운동시 일반적 주의 사항
제 1형과 제 2형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사항으로 운동 전, 도중(30분마다), 후에 혈당치를 측정하여 운동량에 맞게 식사량을 조절하고 격렬한 운동 3시간 전에는 고탄수화물, 저섬유식, 저염분식을 섭취하고, 운동 30-60분 전에는 과일 주스나 지방 성분이 적은 크래커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공복 상태에서는 운동을 하지 않으며 운동 후 혈당치에 따라 간식을 복용하는 것을 권한다.
운동 전에는 술이나 베타 차단제 등을 복용하지 말아야 하며, 수분의 섭취에 있어서도 운동 2시간 전에 300cc, 30분전 200-300cc, 운동 중 15분마다 15-200cc 정도의 수분을 섭취해 주는 것이 좋다.
복시현상, 식은 땀, 맥박수 증가 공복감, 불안감 등을 보이는 저혈당증, 갈증과 배뇨의 증가를 보이는 고혈당증, 위통, 탈수, 의식의 혼미, 과일 냄새가 나는 호흡 등의 증상을 보이는 케톤 산혈증에 대한 증상에 대해 숙지를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 제 1형 당뇨병에 해당하는 운동 시 주의 사항
처음 한두 달은 혈당치, 인슐린 투여량, 식사량, 운동량을 정확히 기입하여 당뇨 일지를 가지고 다니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혈당이 60mg 이하일 경우는 운동을 피하는 것이 좋다. 인슐린은 운동 1시간 이전에 피하 주사를 하고, 맞는 부위는 운동시 주로 사용하는 근육을 피해 주사하여야 한다. 운동시 동반자 또는 주의 사람에게 자신이 당뇨 환자라는 것을 알리거나 몸에 알 수 있는 표식을 하는 것이 만약에 올 수 있는 합병증으로 인한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운동은 오전 중에 하는 것이 좋고 오후 인슐린 투여량을 줄여서 밤에 저혈당을 예방하여야 한다.
4. 심장 합병증과 관련된 경고 증상
가슴, 복부, 등, 목, 턱, 팔부위의 통증이나 불편감을 느끼거나 운동 중이나 후에 메스꺼림, 운동 중 호흡곤란, 어지러움이나 실신, 부정맥 증상을 느끼면 심혈관계의 합병증을 의심할 수 있으므로 그에 적절한 조치 및 검사가 필요하다.
5. 합병증이 있을 경우 운동 시 주의 사항
신경 합병증이 있는 경우 강도가 약한 운동을 권하며 덥거나 추운 날씨에는 운동을 피하는 것이 좋다. 망막증이 있는 경우 혈압의 갑작스런 상승이나 망막에 출혈이 있을 수 있으므로 최대 맥박수의 40% 정도의 운동 강도를 권하는 것이 좋다.
6. 당뇨병 환자의 발 관리 요령
당뇨병 환자는 매일 따뜻한 물에다 비누로 발을 깨끗이 닦아야 한다. 수건으로 물기를 닦을 때는 힘을 주어서 문지르지 말고 가볍게 닦는다. 적어도 하루 세 번씩은 바를 세심히 검사하고 조그마한 상처라도 있으면 속치 치료를 하며 일 년에 두 번은 의사에게 발에 대한 검진을 받는다. 발톱은 너무 길거나 앞으로 둥글게 깎지 말고 옆으로 일직석이 되게 자른다.
또한 양말은 매일 같이 신도록 하며 장딴지까지 올라오는 양말의 위 부분은 한번 접어서 너무 꽉 조이지 않도록 한다. 신발은 아주 편하고 잘 맞는 것을 신도록 하며, 신발에 수선이 필요할 때에는 바로 수선해서 발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새 신발을 신을 때는 2-3시간 이상 계속해서 신지 말고 가끔 신을 벗어서 발에 무리가 가는지를 확인한다. 의협신문 입력: 2005.01.24 1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