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화(昇華)'한다는 말은 물리학에서 얼음이 증발하거나 드라이아이스처럼 고체에 열을 가하면 액체가 되는 일이 없이 곧바로 기체로 변하는 것처럼 '어떤 현상이 더 놓은 상태로 발전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논증적 연구 방식으로 '너머'를 의미한다
심리학이나 정신의학에서 사회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충동과 욕구를 예술 활동, 종교 활동 따위의 사회적, 정신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치환하여 충족하는 일이다. 심리학에서는 논증적으로 '너머'를 추구하거나 변증법적으로 '곁으로'를 추구하는 방식이다.
우리의 모든 행동이 근본적으로 성적 또는 공격적 목표를 가진다고 추정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모든 비성적 또는 비공격적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승화와 같은 개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보기도 한다.
우리는 유용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시각적 지각을 사용하는 것을 관음증이나 도시증적인 본능적 욕구와 상관이 없이 행동 변화를 위해 서술적으로 적응될 수 있으므로 승화한 것이라고 가정할 필요가 없다고 하기도 한다.
의학적 관점에서 볼 때, 처음에는 성적 또는 공격적 목적을 가졌다가 나중에 그 목적이 바뀌어 성적이지도 공격적이지도 않고, 사회적으로 적절하고, 의식적으로 만족스러우며, 적응적 또는 탄력적인 행동들로 나타나는 현상은 설명될 필요가 있다.
이런 상상적이고 무한한 여행이 흔히 생각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규칙적인 여정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고고학은 문헌자료를 규칙적으로 배열함으로써 많은 것을 얻지만, 수 세기의 완만한 삶의 흔적에서 그들의 기원을 추론해 내는 식이다.
잘 분류된 일련의 심리학적 자료들을 검토하면 그들이 가지고 있는 연계관계의 규칙성에 놀라게 되고, 그런 심리학적 자료 속에 나타난 무의식적 역동성을 보다 잘 이해하게 되는 상상적 여행을 통해 막연함과 동요, 그리고 진실성 결여가 규칙적 삶을 방해하지 못함을 볼 수 있다.
우리가 볼 수 있는 모든 무질서는 때때로 너무나 특징적인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가동성에 의한 조직성의 구조로 쓰일 수 있을 것처럼 보이기까지 한다. 우리가 마주한 외적 현실로부터 벗어나는 방식이 실제로 우리 내적 현실을 선명하게 드러내 준다.
비현실적인 것에 대한 기능을 상실한 존재는 현실적인 것에 대한 기능을 상실한 존재와 마찬가지로 신경증 환자이다. 비현실적인 것에 대한 기능의 혼란은 현실적인 것에 대한 기능에 영향을 파급한다고 말할 수 있다.
상상력의 고유 기능인 열림의 기능이 잘못되면, 지각마저도 둔해지게 되므로 현실적인 것에서 상상적인 것으로의 일정한 연계 관계를 찾아내야 한다. 이런 규칙적 연계 관계를 실제 체험해 보기 위해서는 심리적 자료들의 상상적 계열을 먼저 잘 분류해야 한다.
오늘도 흥겹고 건강하고 행복한 하루 만들어 가시길 빕니다. 이동윤 드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