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 성 일 : 2024.07.17 + 작 성 자 : 이동윤
+ 제     목 : 일상에서 내가 먼저 행복해야 다른 사람들도 행복해질 수 있다
+ 파일첨부 :

진료실에서 만나는 분들 중에는 행복에 목 말라하는 분들이 많다. 어떤 분은 암으로 입원과 퇴원, 그리고 수술이 반복되는 일희일비하는 삶을 살고 있다. 가족들도 간호와 일상 사이에서 고민을 많이 하고 있다.

병이 잦은 배우자는 가족의 도움이 필요하다. 뇌졸중 후유증으로 새로운 정보를 잘 기억하지 못하고, 체력도 약해져 배우자에게 거의 의존하는 삶을 살고 있다. 배우자를 낫게 하겠다는 일념과 희망으로 배우자의 의지가 되어주고 있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자신의 인생을 생각하면 이대로의 삶으로는 안 된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어떻게 자기 타협을 할 수 있을까 고민하기도 한다. 치매 판정을 받은 아버지 간호를 시작한 본인이 또 심근경색으로 쓰러진 분도 있다.

건강이 조금 회복되어 이전처럼 다시 일을 시작하려는데, 이번에는 또 아버지가 치매라는 사실을 알게 되고, 평일은 아버지를 간호하는 일상으로 다시 복귀하게 되었다. 병에서 나아 살아난 것도 다행인데, 연로한 아버지의 간호를 무시할 수 없어서다.

어떤 분은 뇌경색으로 쓰러진 남편을 간호하기 위해 부득이 평생 해오던 직장을 접고, 그 결과로 우울증에 걸려 고생하거나, 치매 어머니와 단둘이 사는 아들이 회사를 퇴직까지 하면서 노모들 돌보기도 한다.

누구나 부모를 학대하거나 위해를 가하지는 않지만, 같은 상황에 놓이면 "출근하지 않느냐?"는 치매 노모의 질문에 자신도 모르게 "누구 때문에 일을 쉬고 있는데?"라며 무심결에 자신도 모르게 언성을 높이고 후회하기도 한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다른 사람에게 자신이 행복해지는 것보다 더 나은 것을 해줄 수 있을까? 부모는 평생을 자식의 행복을 기원하고 기도하고 자식이 행복해 하는 것을 보고 기뻐한다. 이것은 자식이 나이를 먹어도 한결 같은 부모의 마음이다.

부모 자신으로 인해 자식이 고생한다는 생각을 갖지 않게 해야 하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 부부도 마찬가지다. 서로 배우자의 행복을 바랄 것이다. 간호가 아무리 힘들고 어렵더라도 자신의 몸을 희생하는 일 없이 인생을 소중하게 여기는 마음이 중요하다.

이것은 자신만을 위한 노력이 아니다. 새가 노래하듯이 스스로 밖으로 나가 다른 사람을 행복하게 해주는 것이 진정한 행복이며, 이런 행복은 전염성이 있어서 주위를 전염시킨다. 먼저 간호하는 사람이 행복해야 하는 이유다.

질병을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환자 본인의 숙제이며, 가족들이 대신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런데도 환자들은 진실을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라고 믿는 것은 잘못이다. 우리는 환자 본인이 처한 상황을 받아들이지 못할 것이라 지레 짐작해서는 안 된다.

오늘도 흥겹고 건강하고 행복한 하루 만들어 가시길 빕니다. 이동윤 드림

다음글 : 달릴수록 근육들이 나를 더 안전하고 빠르게 달릴 수 있게 만들어준다
이전글 : 나는 내려받은 앱이나 복사한 글들을 잊지만, 문제는 앱이나 복사글들은 나를 잊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