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 성 일 : 2021.04.04 + 작 성 자 : 관리자
+ 제     목 : [5귀절 반야심경 33-1]무무명(無無明): 무명(無明)이란 나란 실체가 있다고 여기는 마
+ 파일첨부 :

[5귀절 반야심경 33-1]무무명(無無明): 무명(無明)이란 나란 실체가 있다고 여기는 마음이다: 12연기는 공하다

12연기에서 인과(因果)를 깨달으면​​ 윤회의 흐름을 알 수 있고, 공(空)을 깨닫게 되면 해탈과 열반을 성취하게 된다. 인과(因果)의 실상이 공[空]이므로 윤회의 실체가 바로 열반이 되는 것이다. 우리의 마음은 본래 해탈과 열반되어져 있다. 다만, 마음이 무명에 중독되어 모를 뿐.

본래 우리의 마음은 공(空)한데, 우리는 누구나 어떤 무엇, 즉 나라는 실체가 있다고 믿는다. 그래서 수행이란 이런 착각, 즉 전도몽상을 부숴나가는 것이지, 본래 없는 나를 없애는 것이 아니다. 탐진치에 그 어떤 고정불변의 실체를 볼 수 없음을 의미한다.

겉모습이야 이러저러해서 다양하지만, 본질적으로는 그 어떤 실체가 없어 공하기에 볼만한 것이 그 무엇도 없다. 잘난 척할 그 나도 없어서 볼 수 없고, 외부에도 그 어떤 실체라는 것도 없으며, 탐진치에도 역시 그 어떤 고정불변의 실체가 없이, 단지 이름만 있을 뿐이다.​

진제에서는 그 무엇도 보여지는 것이 없다. 일체가 모두 다 공하기에 그렇다. 이것이 바로 보는 지혜의 눈인 혜안이다. 한 치의 마음이 어둡지 않으면 만법이 모두 분명해지고, 나무에 불을 없애면 재가 되지 않으며, 사람에게 망정을 없애면 죽지 않는다는 옛말이 바로 그 의미다.

망정(妄情), 즉 습관으로 형성된 기운이나 습성, 습관을 만드는 종자가 되는 미망(迷妄)의 감정이나 의식은 우리의 전생의 습기에 의해 형성된다. 비록 먼저 문득 깨쳤으나 번뇌가 농후하고 습기가 굳고 무거워서 경계를 만날 때마다 생각 생각이 망정(妄情)을 내게 된다.

다음글 : [5귀절 반야심경 33-2]무무명(無無明): 무명(無明)이란 나란 실체가 있다고 여기는 마
이전글 : [5귀절 반야심경 33]무무명(無無明): 무명(無明)이란 나란 실체가 있다고 여기는 마음이